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세금

주택 임대 사업자 간주 임대료 대상 및 계산 방법 : 상가 간주 임대료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출처 : PIXABAY

 

간주 임대료란 무엇일까요 ? 

 

간주의 뜻은 그렇다고 여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보증금을 임대료라고 간주 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간주 임대료란 임대를 할때 보증금 + 월세인데 보증금도 월세같이 계산해서 임대료에 포함을 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제정된 소득세법  주택 임대 소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경우에 간주 임대료에 대해서 사업 소득 즉 임대료 수입에포함을 시키고 있습니다. 

간주 임대료를 임대료 수입에 포함시킨 이유는 월세를 받는 임대 사업자와 전세 보증금을 받는 임대 사업자간의 형평성을 위해 정해진 은행 금리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사업 소득에 포함 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1. 간주 임대료 사업 소득 포함 대상 

1) 주택 보증금 등의 함계액이 3억원을 초과할 경우 

2) 3주택 이상 소유자 

(단, 소형 주택의 경우는 2021년 12월 31일까지는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음, 소형 주택 1세대당 40제곱미터 이하인 주택) 

 

2. 간주 임대료 계산식

 

 

※보증금을 등을 받은 주택이 2주택 이상인 경우에는 보증금 등의 적수가 가장 큰 주택의 보증금 등부터 순서대로 차감

 

3. 간주 임대료 계산 예시 

예시 )

갑돌이는 3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채는 실거주를 하고 있고 2채중 하나는 보증금 5000만원에 월세 100만원 또다른 하나는 전세 4억원에 임대를 하고 있습니다. 임대 기간은 (2019.1.1~2019.12.31 : 365일)

갑돌이는 3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간주 임대료 대상자입니다. 연간 임대 소득을 계산해보면, 

간주 임대료 = (4.5-3)*0.6*(365/365)*0.021 = 189만원 

연간 임대 소득 = 100*12개월 + 간주 임대료 (189만원) = 1389만원 입니다. 

 


위의 예는 하나의 예이고 다양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홈텍스에서 제공하는 간주 임대료를 계산할수 있게 해주는 곳이 있기 때문에 홈텍스 홈페이지 방문하셔서 계산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계산하는 방법 소개 

-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전체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모의 계산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간주 임대료 계산이 있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합니다. 

 

 

 

- 주택 간주 임대료 계산해보기 

- 임대 주택별로 입력하며 , 아래 임대 주택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 입력 합니다. 

- 동일 주택의 보증금 등이 과세 기간중 변동하는 경우 임대 주택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여 보증금 등이 변동한 구간별로 추가 입력 합니다. 

- 단독 명의 주택과 공동 명의 주택의 간주 임대료는 각각 구분하여 계산 하므로 단독 명의 주택 간주 임대료를 계산한후 아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공동명의 주택 간주 임대료를 다시 계산합니다. 

 

 

 


※ 참고 ) 부가가치세법상 간주 임대료 계산식 

부가가치세법의 간주 임대료 

= ( 당해 기간의 전세금 or 임대 보증금) * (과세 대상 기간의 일수) * ( 은행 정기 예금 이자율/365)

 

예시) 임대인 A가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200에 대한 부가가치세 계산 (365일 사용) 

(은행 정기 예금 이자율 : 2.1%로 가정) 

간주임대료 계산 = 3000만원 * 0.021*365/365 = 63만원 

월세 부가가치세 = 200만원 *0.1 = 20만원 *12개월 = 240만원 

총 부가가치세 = 303만원 

입니다. 

상가 임대 사업자와 주택 임대 사업자의 간주 임대료 계산 방식이 차이가 있으니 이점을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경제적 자유를 위한 일환으로 임대 사업자를 하는데 있어서 세금 계산은 필수 입니다. 절세가 곧 투자 입니다. 세금 계산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공부를 합시다. ^^ 모두들 경제적 자유를 얻으시길 기원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