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세금

종합 소득세 신고 유형 (S,A,B,D,E,F,G,H,I,V형)을 알고 신고하자!!

금일은 종합 소득세 신고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PIXABAY 

종합 소득세 유형을 파악하는건 매우 중요합니다. 유형에 따라서 신고방법 및 제출 서류가 달라지고 대상이 아닌 유형으로 신고할경우는 오신고로 인하여 가산세가 붙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홈텍스에서 확인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대처를 하시길 바랍니다. 


※ 각 유형별 대상자 정리 


1. S 유형 : 성실신고 대상자 + 복식 부기 의무자 ,기준 경비율 (추계신고시)

세무사가 성실 신고 확인서를 소득세 신고와 함께 제출해야 하고 성실신고 대상자이기 때문에 만약 미제출한다면 산출 세액의 5%를 가산세 부과 합니다. 또한, 세무조사 우선 선정 대상자가 됩니다.  

 

▷ 성실 신고 대상자 판단기준 

① 농업 임업 어업 부동산 매매업  : 15억 이상 

② 제조업 숙박 음식업 운수업 보험업 기타 등등 : 7억 5천만원 이상 

③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임대업 교육 서비스업 : 5억원 이상 

 

2. A 유형 : 외부 조정 대상자 + 복식 부기 의무자 + 기준 경비율 (추계신고시)

외부조정 대상자는 세무사를 말합니다. 따라서 외부 조정 대상자는 세무사가 기장을 해야 하고 조정해야하는 납세자를 말합니다. 이경우 세무사 없이 개인이 신고를 할수 없습니다. 세무사 없이 기장을 하거나 신고를 하게 되면 무신고 및 가산세가 붙기 때문에 확인하고 명심해야 합니다. 

 

▷ 외부 조정 대상자 판단기준 

① 농업 임업 어업 부동산 매매업  : 6억 이상

② 제조업 숙박 음식업 운수업 보험업 기타 등등 : 3억원 이상 

③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임대업 교육 서비스업 : 1억 5천만원 이상 

 

3. B유형 : 자기 조정 대상자 + 복식 부기 의무자 

성실신고 및 외부 조정이 없이 신고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복식 부기 의무자 입니다. 이때 주의할점은 소득세 신고시 재무 상태표, 손익 계산서, 합계 잔액 시산표 등의 서류를 복식으로 부기 하여 첨부 해야 합니다. 

이경우도 세무사에게 맡겨서 신고할 필요는 없지만 복식 부기장부 작성이 어렵기 때문에 세무사에게 맡겨서 신고할것을 권고 합니다. 

 

▷ 복식 부기 의무자 판단 기준 

① 농업 임업 어업 부동산 매매업  : 3억 이상

② 제조업 숙박 음식업 운수업 보험업 기타 등등 : 1억 5천만원 이상 

③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임대업 교육 서비스업 : 7천 5백만원 이상 

 

 

4.D유형 : 간편 장부 대상자 / 추계신고시 기준 경비율 

D형에 속하는 경우는 간편 장부 대상자이고 단순 경비율 대상자입니다. 

추계 신고시 낮은 경비율이 인정 받게 되므로 간편 장부 또는 복식 장부를 구성하여 신고 해야 합니다. 

간편 장부 대상자가 복식 장부를 작성해서 신고할때는 산출 세액의 20%를 세액 공제를 받을수 있기 때문에 이경우도 세무소에 맡겨서 복식 부기 장부로 작성해서 신고하는게 매우 유리 합니다. 

 

5. E형 ~ G형 : 간편 대상자 + 단순 경비율 적용 

단순 경비율 적용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추계 신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업종별로 일정한 비율로 경비율을 인정받기 때문에 장부도 작성안해도 되고 쉽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E형 : 근로 소득 ( 기타 소득) + 사업 소득 ( 임대 사업 OR 기타) 

F형 : 사업 소득외 합산 대상 소득이 없는 경우 

G형 : 납부 세액이 없는 유형 

※ F,G의 경우는 납부 세액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단순 경비율 적용 대상자 판단 기준 

① 농업 임업 어업 부동산 매매업  : 6000만원 미만 (사업한 당해년도 3억원 미만) 

② 제조업 숙박 음식업 운수업 보험업 기타 등등 : 3천 6백만원 미만 (사업한 당해년도 1억 5천만원 미만)  

③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임대업 교육 서비스업 : 2천 4백만원 미만  (당해년도 7천 5백만원 미만) 

 

6. I형 : 성실신고 사전 안내자 

국세청에서 주시하고 있다고 사전 경고를 받은 사람들을 말합니다. 성실 신고 확인 대상자는 매출액 대비 소득 금액이 동종 지역, 업종보다 저조하거나 증빙 미수취 경비 또는 가사 경비로 추정되는 경비를 포함하여 신고한 사업들에게 발생하는 안내문입니다. ( 2018년 귀속 소득세 신고부터 신설된 유형임) 

 

7.  V형 : 주택 임대 소득자중 분리 과세 대상자 

주택 임대 사업자중 분리 과세 대상자 즉, 14%의 일정 비율의 세금을 부과하는 대상자를 말합니다. 

 

주택 임대 소득자중 분리 과세 대상자 관련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도 나와 있기 때문에 제 블로그에서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정리]

S A B D I 형인 경우는 세무사의 도움이 필요한 신고 대상자 입니다. 

E F G V형개인이 스스로 해도 무리없이 할수 있는 신고 대상자 입니다. 

 

 

[참고 사항]

 

종합 소득세 세금 계산 방법 ? :세율의종류는?

안녕하세요 국민이라면 납세의 의무를 지켜야 겠죠 "소득이 있으면 세금이 있다"라는 전제로 정부에서는 소득세를 걷어 갑니다. 소득이 올라가도세율이 올라가서 소득이 올라간 효과를 못보는

paultrader.tistory.com

 

 

종합소득세 개요 : 간편장부 대상자 및 관련 내용, 종합 소득세 미신고시 가산세

안녕하세요 . 금일은 2020년 종합 소득세 관련 신고 납부 관련 사항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올해 과세 신고 기간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종합 소득세를 신고 납�

paultrader.tistory.com

 

 

 

종합 소득세 E형 신고 방법 : 간편장부 및 단순 경비율 대상자 스스로 신고해보자 !! ;직장인 임대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 소득세에서 직장인 + 임대 사업자 (E형)를 위한 신고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인 소득이외에 투자를 하셔서 임대 사업을 하시는 분중 E형인 경우는

paultrader.tistory.com

 

 

주택 임대 사업자 간주 임대료 대상 및 계산 방법 : 상가 간주 임대료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간주 임대료란 무엇일까요 ? 간주의 뜻은 그렇다고 여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보증금을 임대료라고 간주 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간주 임대료란 임대를 할때 �

paultrad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