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및 경제

주식 시장 상승 이유는 무엇일까요 ? 답은 유동성 , 돈이 주식 시장으로 흘러가고 있다.

안녕하세요 !! 

 

 

요즘 주식 시장은 이해가 안되는 장세 입니다. ?? 미국 시장 및 코스피 시장 시황을 한번 볼까요  ? 

 

 

다우 나스닥 S&P 500  모두 미친듯이 어디가 끝인지 모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V자를 넘어서 전고점의 고지를 정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뭐 국내 시장도 다를봐 없이 탄력을 받아서 2000포인트를 간단히 넘어서고 2100포인트에 가깝게 가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왜 이런일이  ??

 

주식 시장은 기업에게 투자하는 시장입니다. 기업이 잘되야 실적으로 그 기업이 영업 이익 및 순이익 등 실적이 향상이 되야 주가가 올라야 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기업의 실적이 향상될 가능성이 없죠 ? 

 

경제 지표 및 예상되는 경제 성장률이 대부분의 선진국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마이너스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성장이 되지 않는데 ...!!  대부분의 기업의 실적이 좋아질리가 없죠 !! 

 

이러한 시장은 경제와 정말 모순된 시장입니다. 

 

[대외적인 상황]

현재 시장의 상황은 대외적으로 악재가 연속인 시장입니다. 

 

양 강대국인 중국과 미국이 서로 으르렁 대면서 싸우고 있고 미국은 연일 중국에 대해서 비난의 화살을 쏘아 붙이고 있고 중국도 만만치않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강력한 비관에 아랑곳하지 않고 홍콩국가 보안법을 통과 시켰고 이에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를 들고 나와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누가 이길지 !!! 누가 이기든 중요하겠지만 우리에게는 두 강대국이 싸움만으로도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래 기사와 같이 미국 LA에서는 폭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폭동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도 주식시장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또한 코로나 19도 완전히 잡히지 않고 진행중인 상황입니다. 

 

 

 

뉴스 

 

 

아리송하지 않나요 ? 주식을 해보신 분들은 정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일거라고 생각 됩니다. 

제가 생각 하는 첫번째 이유는 폭발적인 유동성 장세때문이라고 생각 합니다.

 

미국 정부와 연준은 3월 부터 지속적으로 시장에 엄청난 돈을 풀었습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미연준은 다시 제로 금리 시대를 열었고 또한 무한 양적 완화를 선언했면서  부실 채권이든 아니든 상관하지 않고 닥치는데로 사들였고 주식 시장이 불안할때마다 엄청난 돈을 풀었습니다. 또한 미 행정부는 2달여 만에 3조 달러 가까이를 풀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이 시장의 통화량이 3월달부터 급격히 늘어나는것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미국 M2 통화량]

 

출처 : 트레이딩이코노믹

 

그럼 우리나라의 사정은 다를까요 ? 

우리나라도 미국의 사정과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소비 진작을 위해서 정부의 수입원은 줄이고 시장에 돈의 공급은 연일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 입니다. 재난 지원금을 통해서 시장에 헬리콥터 머니를 쏟아 붙고 있는 상황이고 한국은행은 이에 발맟추어 한국 기준 금리를 0.5%까지 낮춘 상황입니다. 한국은행이 설립된 이후로 0.5% 금리는 최초 입니다. 이러한 재정정책을 통해서 돈은 갈곳이 주식 시장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 됩니다. 

주식 시장은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신흥 시장국인 우리 나라에서 특징은 외국인 투자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아래 도표를 보시면 외국인 주식 투자 현황에서 보듯이 외국인이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투자 자금이 코로나19이후 굉장히 축소되었음을 볼수 있습니다. 

 

[외국인 주식 투자 현황]

 

출처 : 트레이딩이코노믹

 

 

 

시장의 통화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M2 통화 공급량 ]

 

출처 : 트레이딩이코노믹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공급된 시장 통화는 주식 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내가 모은 자금이 높아야 1.5% 예금이자를 주는 예금 시장에 돈을 넣어봐야 수익률이 형편없고 이후 통화의 가치가 떨어지면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것입니다. 

 

부동산은 2017년이후  엄청난 상승을 한 상태입니다. 조정을 받고 있다고는 하지만 일부지역만이고 여전히 3년전에 비하면 터무니 없는 가격을 유지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정부가 지속적으로 부동산을 잡기 위한 정책을 연일 꺽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6월 이후에 나올 부동산 종부세와 재산세 고지서는 부동산쪽으로 투자하려고 하는 마음을 꺽을수 있는 상황이 될수 있습니다. 공시 가격은 작년 대비 상승을 많이 했기 때문에 세금 부담이 커지는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고지서를 받은 사람이나 재산세를 계산해본 사람이라면 부동산 투자에 손을 뻗기에는 부담스러울것 같습니다. 또한, 20대 국회에서 종부세 개정안에 대해서 통과를 하지 못하였지만 21대 국회에서 다시 발의해 종부세 통과를 시킬게 당연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내년 세금 부담은 올해보다 더 커질 예상이 됩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투자 수단으로 삼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인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배경 즉 부동산 및 예금 시장은 매력적이지 않은 시장이기 때문에 오직 한곳인 채권 및 주식 시장으로 돈이 몰릴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위와 같은 반증이 개인 투자자들이 신조어 동학 개미 운동을 통해서 연일 매수세를 이어 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것은 주식계좌에 돈이 몰리고 있는것 같습니다

 

그럼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까요 ? 

정부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개소세 할인 연말까지 연장 및 신용카드 연말 정산 공제액등 추가 대책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며 제2 재난 지원금 지원 정책에 대해서도 논의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시장에 공급되는 돈은 더욱더 많아 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유동성이 넘치는 시장의 돈은 결국 당분간은 주식 시장에 몰릴수 밖에 없는 상황인것 같습니다. 

 

물론 세계적인 악재가 해소 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은 버블을 키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코 좋다고 할수 없지만 올해는 갈곳 잃은 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을 배제 할수 없습니다. 

돈의 흐름을 이만큼 무서운것 같습니다. 한번 몰린 돈은 버블이 꺼지는 시점까지 버블을 키우게 되기 때문에 우리의 코스피와 코스닥이 전고점을 넘어서 별나라로 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됩니다. 

 

뭐 위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저의 생각 입니다. 믿거나 말거나죠 ^^ 하지만 여러분들도 현재 시장 상황을 유심히 생각해보셔야할것 같습니다. 스마트 머니가 된 개인 투자자들이 지속적인 주식 시장으로 유입을 꺾이는 시점이 올지??? 고민해 보시는 시간을 갖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발로 썼는지 손으로 썼는지 모를 정도로 피곤한 상태에서 주저리 주저리 떠들었네요 !! 

 

이글을 읽는 시간 동안만 이라도 주식 시장에 대해서 한번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이상으로 글을 마치며,,,,, 총총 할게요 

다음 포스팅은 더욱 알찬 내용을 꽉꽉 채울게요 !! 경제적 자유를 얻는 그날까지 .... 우리 한번 노력해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