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의 차트 분석의 기초인 이동 평균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 평균선은 추세 흐름입니다 .
이동 평균선을 영어로 나타내면 MOVING AVERAGE 약자로 MA라고 부릅니다. 이동 평균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발생한 값을 평균을내서 선으로 표시한겁니다.

1. 이동 평균선 만드는 방법
이동 평균선을 자세히 알려면 이동 평균선을 어떻게 만드는지를 봐야 겠죠 !!
예를 들어서 한번 보겠습니다.
5일동안 움직인 주가를 평균내서 그린 선이고 10일선의 경우는 10일동안 평균, 20일선은 20일... 기타 등등 이렇게 각 날짜별로 평균을 낸후 그 평균값들을 이어서 만든선이 이동 평균선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아주 단순하죠
아래와 같이 주가가 움직이는 상황이라고 가정할때 아래와 같이 계산을 해서 그래프를 그릴수 있습니다.


2. 5일선 ,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은 각각 무슨뜻을 의미할까요 ?
5일선은 5일동안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서 주식 시장 영업일 기준 1주일에 5일 입니다. 따라서 시간으로 따지면 일주일간의 주가 변동성을 나타낸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의미로 20일선은 1달동안의 움직임, 60일선은 3달 동안의 움직임 ,120일선은 6개월 240일선은 1년을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각 선들은 이렇게 일정한 기간에 대한 가격 평균 이동을 뜻하는것입니다.
이러한 선들이 차트 분석상으로 어떤 의미인지?
1) 이동 평균선의 지지와 저항 역할
▷ 이동평균선 위에서 주가가 움직이고 있다면, (이동평균선 지지선)
이동 평균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형성되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현재 가격보다 매수한 가격이 낮기 때문에 주가에 수익이 나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보통 심리적으로 주식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가 작용하게 되고 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동 평균선과 주가와의 큰 괴리가 발생하게 되면 단기간 급등에 따른 시세 차익을 해야 겠다는 심리가 작용하게 되고 이동 평균선까지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주가가 움직이고 있다면,(이동평균선은 저항선)
이동평균선보다 아래에서 주가가 움직인다면 이동평균선 전에 매수를 한사람들은 현재 가격이 손해가 발생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잘못 매수 했다고 판단하고 자신이 매수한 가격에 오면 팔려고 하는 심리가 강할겁니다. 따라서 주가가 이동 평균선 근처에 오게 되면 투자자들이 매도를 하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지 못하게 하는 저항선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기간별 이동 평균선이 의미하는것은 ?
(일봉 기준 , 봉기준에 따라서 기간이 의미하는 내용은 다름)
1)5일선 : 일주일 이라는 짧은 기간동안의 주가의 평균이기 때문에 주가와 매우 밀접하게 움직입니다.
즉 하루의 시가 부터 저가 종가를 결정하는 캔들과 가장 근접해 있어서 차트 분석상에서는 생명선이라고 부릅니다.
급등주가 단타 매매 할때 참고 하는 지표 입니다.
2) 20일선 : 한달 동안의 주가의 평균이기 때문에 주가의 경향을 볼때 20일선을 많이 봅니다. 지속적인 상승을 이룰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곤 합니다. 5일선은 단기간이기 때문에 5일선으로 추세를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보통 차트 분석할때 추세를 보는것은 20일선으로 보면 됩니다.
3) 60일선 : 60일선은 세달 동안의 주가의 평균 입니다. 통상적으로 기업들은 분기별 실적 발표를 합니다. 따라서 기업 실적에 따른 흐름을 볼때에는 60일선을 참고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실적에 따라서 기관 및 외국인들의 움직임도 따라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60일선의 상승추세를 그린다면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생각 하는것이 통상적입니다.
4) 120일선 : 6개월간의 주가를 평균한 선이기 때문에 경기선이라고도 합니다. 기업의 반기 실적 및 정부에서 발표하는 반기 실적에 따라서 주식 시장이 호황이 될지 아니면 침체를 겪을지를 볼수 있는 지표라고 할수 있습니다. 산업 전반의 흐름을 읽는데 쓰이기도 합니다.
5) 240일선 : 1년동안의 주가를 평균한 선이기 때문에 바닥선이라고 합니다. 이선을 하회해서 주가가 움직인다면 그 주식의 실적은 바닥을 치고 있고 언제 회복을 할지 모른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이선 밑에 있는 주식 들은 손을 대지 않는게 좋습니다. 만약 상승을 한다고 하더라도 240일선의 저항은 매우 거셉니다.
위의 선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것은 각기업의 실적발표 시즌과 경기의 흐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각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서 이해하는것은 주식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것 같습니다.
▷ 이동 평균선 정배열과 역배열은 ?
이동 평균선의 정배열과 역배열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차트를 보면 알수 있듯이 기간별 이동 평균선이 5>20>60>120>240로 배열이 되었다면 정배열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현상이 발생하면 이동 평균선 역배열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차트에서 보듯이 정배열이 되면 결국 주가가 일정기간동안 주가가 상승을 지속함을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차트매매를 위해서는 역배열에서 골드크로스로 정배열로 배열이 바뀔때 시점에 매매를 하면 안정적인 매매를 할수 있습니다.

이동 평균선의 단점 이동 평균선은 과거의 주가를 평균낸것이기 후행 지표라고 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 평균선만 보고 매매하는것은 매수 매도 타이밍을 놓칠수 있습니다. 지표를 맹신하면서 매매 하는것은 지양해야 할것 같구요 참고로 사용하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 입니다.
이동평균선 관련된 내용은 이정도만 알아도 차트 분석할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총총 하겠습니다.
'주식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국가 보안법 수혜주 미중 무역 전쟁 수혜주 (유니온, 샘표, 샘표식품) (0) | 2020.05.31 |
---|---|
해외주식과 국내주식 세금 및 매매 수수료 비교하기; 해외주식하기전 꼭 알아야할 세금 및 매매 수수료 (2) | 2020.05.30 |
한국 은행 기준 금리 인하 (0.75%→0.5%:0.25%인하) 유동 자금은 주식 시장으로 간다. !! (0) | 2020.05.29 |
[해외 주식 투자 #1] 해외주식 ETF로 투자 하기 !! 해외 주식 투자 방법 (0) | 2020.05.27 |
[주식용어#1] 공매도 금지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매도란 ? (0) | 2020.05.10 |